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민연금3

가족이 사망했을때 대처법 집에서 가족이 사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신고부터 장례, 연금까지 완벽 정리혹시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가족이 집에서 사망했을 때 ‘죽었어요’라고 하면 경찰 조사를 받는다.”“‘사망했습니다’라고 하면 장례식장에서 시신을 안 받는다.”이런 말들이 떠도는 이유는 실제 상황에서의 신고 절차와 법적인 사망 판정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오늘은 이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만약 가족이 집에서 숨을 거뒀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신고 방법부터 장례 절차, 행정 처리, 유족 연금까지 하나하나 안내해 드려볼께요 1.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19에 이렇게 신고하세요가족이 숨을 쉬지 않거나 의식이 없는 것을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19에 신고하는 것입니다.이때 말하는 표.. 2025. 6. 24.
3차 국민연금 개혁안 요즘 국민연금때문에 참 말도많고 탈도많은데요 드디어 최종 개혁안이 나왔네요 근데 어질어질한 이국민연금 최종 개혁안 맞는걸까요?  당초 제시된 개혁안은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4% 대폭 인상시키되청년 세대의 과중한 부담을 막기 위해 50대 이상은 연간 1%씩 40대는 연간 0.5%씩 30대는 0.33% 20대는 0.25%씩 올리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50대의 격렬한 반대로 인해 전 세대가 8년간 매년 0.5% 인상으로 통일되어 버렸고이로인해 20대는 4배에 달하는 부담을 지는 반면, 50대의 부담은 절반으로 줄어들었죠게다가 내년부터 소득 대체율 43%로 인상한다고 하는데  2030만 평생 더 낼 예정인듯한데 저도 40대이긴하지만 아니 이게 맞나요?   꼭 그렇게 다 가져가야만 했냐!!! 2025. 3. 21.
만 나이 적용 드디어 시행하기 시작했지만 지금도 많은 분들이 헷갈리고 있는 만 나이에 대해 말씀드려볼게요. 뉴스에서도 신문에서도 이제 당장 바뀐다고 만 나이 통일법이다 뭐다 하면서 기사 같은 것도 엄청 나오고 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바뀌는 거의 없습니다. 하나씩 얘기해 보자면 첫 번째 군대 이거 가장 많이들 물어보시던데 이제 군대 일찍 가야 되는 거냐는 겁니다. 만 나이로 바뀌어서 전 국민이 한두 살 어려진 만큼 입대도 빨라지냐는 거죠. 근데 이거 안 바뀝니다. 지금이랑 똑같습니다 그리고 편의점에서 술 같은 거 살 때마저도 달라지는 게 하나도 없습니다 지금까지와 똑같이 연 나이로 19세 미만은 구입할 수 없습니다. 이건 사실 이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술집 주인 입장에서는 매일매일 날짜가 바뀌는데 일일이 모.. 2023.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