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만모르던 생활꿀팁!!507 식당에서 특이한 한국인 외국인들이 발견한 한국인의 식당에서 상황별 특징있다고하는데요 외국은 보통 식당에 앉아서 일행과 담소도 나누다가 직원이 메뉴판 가져다주면 천천히 살펴보고 주문하는데 한국인들은 엉덩이가 좌석에 닿을 때쯤엔 이미 입에서 주문이 튀어나오고 있다고(나도그런데....ㅋㅋㅋ) 직원도 메뉴판 가져오다가 그냥 바로 그걸 받침으로 주문 받아 적는모습 흔히들 보시잖아요??근데 이게 주문하는 쪽도 받는 쪽도 일상이라는 게 핵심임 그리고 한국은 식사 메뉴라는게 따로 있다고.....둘이서 이미 고기 4인분을 먹었는데 직원이 오더니, 식사 뭘로 드릴까요? 물어봄지금까지 먹은 건 식사 아니고 뭐였지하고 충격받는다고합니다 그리고 식당 나갈 때 자판기 커피를 즐기는데 외국인들은 버튼 누르고 커피 다 돼서 불이 꺼지면 컵을 꺼내는.. 2025. 5. 28. 올해 장마 기간. 이게 맞나 싶은 2025년 장마 기간 지금보시는 줄거져 있는날이 전부 장마기간이라고합니다중부 지방 6월 25일부터 7월 26일 약 31일남부 지방 6월 23일부터 7월 24일 31일제주도 6월 19일부터 7월 20일 약 32일이제 장마가 한 달이라고합니다 원래 여러분 장마라고하면 한 일주일 길어봤자 2주 이랬는데이게 어떻게 장마라는거지 ㅡㅡ:: 근데 여러분 그거 아시죠? 작년에 진짜 이랬습니다.날씨가 계속 흐린 상태에서 조금 왔다가 그쳤다가 또 왔다가 그쳤다가 이러잖아요.우리도 이제 장마가 아니라 동남아처럼 우기라고 해야 되는 거 아닌가합니다... 2025. 5. 27. 또 오르는 치킨 가격? 얼마전 뉴스에서 브라질의 대규모 양계장에서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견되었다는 기사를 접하게됫는데요 그런가보다하고 넘어갓는데 이로 인해 브라질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방역 작업에 들어갔다고 하네요 그런데 진짜 큰일인 건 브라질에서 60일간 한국의 닭고기 수출을 중단해버렸다고.... 국내 수입산 닭고기의 88%를 차지하는 브라질산 닭고기였기에 그타격이 엄청 날텐데요특히나 치킨의민족인 한국인으로서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라는 겁니다 문제는 그렇게 이를 핑계로 치킨 가격을 또올리고 은근슬쩍 안 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그래도 다행인 건 브라질산 닭은 애초에 정육이 된 순살 상태로 들어오기 때문에 대부분 냉동식품이나 닭강정, 닭갈비, 찜닭 순살 치킨 용도로 쓰인다고 하네요 반면, 뼈.. 2025. 5. 26. 우리나라에 풍부한 모래 석유보다 귀한 자원이 풍부한 한국 뭔지아시나요??바로 모레!!모래는 현대 사회의 필수 자원인데 모르셧죠?? 건물은 콘크리트에 모래 섞어서 만들고 ,반도체 모래 구워서 만들죠그러면 사우디에는 모래도 넘쳐나는데 라고 할 수 있는데, 건설이나 반도체에는 아무 모래나 쓸수 없습니다사막 모래는 너무 고와서 건물 지을 때 못 쓰고 반도체에는 강에 있는 고품질의 모래를 써야 하죠 산이 많은 한국은 물과 고품질의 모래가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모래는 세계 최고 수준인데다만 고순도 석영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한 광산에 전적으로 의존 중이라고...이게 반도체에 들어가는 핵심 재료인데 거의 미국에서만 난다고합니다 ㅠ 모래 아무리 좋은 거 있서봤자 소용없네요 천조국 형님들은 석유같은 풍부한 자원에 고순도 .. 2025. 5. 23. 두릅에 종류 봄철 입맛을 돋궈주는 두릅 여러분은참두릅 ,땅두릅 ,개두릅 각각 어떻게 다른지 또 어떤 게 더 귀한 건지 혹시 알고 계신가요? 첫째, 참두릅두릅이라 하면 보통 두릅나무에서 자라는 이 참두릅을 얘기하는데 쌉싸름한 맛과 은은한 향 때문에 가장 대중적이고부드러운 맛을 지녔습니다. 둘째, 땅두릅나무에서 자라는 참두릅과 달리 땅두릅은 땅에서 자라는 독활이라는 풀을 말하는데 항암 효과를 비롯한약효는 뛰어나지만 재배가 쉬워서 가격이 가장 저렴합니다. 셋째, 개두릅개두릅은 엄나무 순을 말하는데 참두릅보다 쓴맛과 향이 강하고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이 함유돼약효가 뛰어납니다. 하지만 채취시기가 짧아 귀한 나물로 분류됩니다.세 종류의 두릅 모두 사포닌,비타민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이로운 .. 2025. 5. 22. 유리병 재활용에 끝판왕 소주병하나도 진심인게 우리나라oecd보고서에도 "한국은 유리병 재사용 세계최고 가장 친환경적" 직접 언급될정도라고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유럽은 병 색깔도 다르고 모양, 크기, 두께 다 달라서 세척도 어렵고 운반비도 많이 들어결국 그냥 버리지만 한국은 소주병 규격 디자인 사이즈가 전국 공통이라 자동 세척 자동 검수 재출고까지..풀 자동화가 가능해 한 병당 최대 50번까지 리사이클 돼서 돌아온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한 병당 100에서 130원의 보증금을 지급해 시민들의 참여도를 높여순환경제가 되면서 문제가 있는 소주병은 아주 잘게 부셔 컵 조명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는데 해외에서도 한국의 시스템을 따라 하고자 했지만, 병규격, 물류, 인프라, 문화적 차이 등 어려움이 있어 포기한다고합니다실제 도입 .. 2025. 5. 21. 이전 1 2 3 4 ··· 8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