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만모르던 생활꿀팁!!

가족이 사망했을때 대처법

by 그섬에 가고싶다 2025. 6. 24.
반응형

집에서 가족이 사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신고부터 장례, 연금까지 완벽 정리

혹시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가족이 집에서 사망했을 때 ‘죽었어요’라고 하면 경찰 조사를 받는다.”

“‘사망했습니다’라고 하면 장례식장에서 시신을 안 받는다.”

이런 말들이 떠도는 이유는 실제 상황에서의 신고 절차와 법적인 사망 판정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만약 가족이 집에서 숨을 거뒀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신고 방법부터 장례 절차, 행정 처리, 유족 연금까지  하나하나 안내해 드려볼께요

 

119전화

 

1.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19에 이렇게 신고하세요

가족이 숨을 쉬지 않거나 의식이 없는 것을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19에 신고하는 것입니다.

이때 말하는 표현이 매우 중요합니다.

a 이렇게 신고하세요:

• "남편이 숨을 쉬지 않아요."

• "의식이 없고, 몸이 차가워요."

 

🚫 이렇게 말하지 마세요:

• "죽었어요."

• "사망했어요."

이유: 우리는 의료인이 아니기 때문에 ‘사망’을 단정해서 말하면 안 됩니다.

법적으로 사망 판정은 의료진만 할 수 있으며, 사망이라고 신고하면 불필요한 조사나 부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119 구급대원 도착 후 절차

• 구급대원이 도착하면 기본적인 생사 확인을 합니다.

• 맥박과 호흡이 없고 외상이 없는 경우, 병사로 판단됩니다.

• 이후 경찰에 연락하여 현장 확인이 이루어집니다.

• 복용 약, 병력, 주변 상태를 경찰이 확인 후 병사로 판단되면 의사의 사망 진단서 발급 절차로 넘어갑니다.

 

장례

 

3. 장례 준비는 이렇게

• 사망 진단서 발급 후 장례식장으로 시신 이송

⚠️ 119는 사망자의 시신을 이송하지 않습니다.

➡ 장례식장에 운구 차량 요청 필요

• 장례식장에서는 빈소 마련, 발인 일정, 절차 등을 안내합니다.

TIP: 고인의 유언이나 가족 간 합의가 있다면 미리 장례식장에 설명하세요.

 

국민연금

 

4. 사망 후 행정 처리 – 연금과 환수 조치

🔹 기초연금

• 사망 당월까지만 지급

• 다음 달 입금되면 국가가 환수

• 사용하면 반환 통지서 발송됨

🔹 국민연금

• 유족연금 조건 충족 시 지급

- 배우자(60세 이상 또는 일정 소득 이하)

- 25세 미만 자녀

• 지급액: 기존 연금의 40~60%

• ☎ 확인: 국민연금공단 1355 또는 주민센터 방문

 

고독사 예방

 

5. 혼자 사는 분들을 위한 고독사 예방 서비스

혼자 사는 고령자나 취약계층의 경우, 사망 후 발견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

• 안심살핌 서비스 (정기 안부 전화)

• IoT 안전 센서 (움직임 감지)

• 스마트 플러그 (전기 사용량 감지)

• 음성 인식 센서 (말소리 미감지 시 경고)

 신청 방법: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문의

서울, 부산, 제주 등 전국 80여 개 지자체에서 운영 중

 

가족의 죽음은 언제나 갑작스럽게 다가오고, 처음 마주한 사람은 당황하고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오늘 이 글에서 알려드린 표현 하나, 절차 하나가 불필요한 조사 없이 조용하고 평온한 이별을 만들 수 있서요

지금 이 정보를 주변의 혼자 사는 어르신이나 가족에게 공유해 주세요.

당신의 작은 배려가 누군가에게는 큰 위로가 될수있습니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매다 | 이상선 | 서울시마포구숭문16길 13-3 | 사업자 등록번호 : 279-30-01257 | TEL : 010-3431-2194 | Mail : dyfltkek@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3-서울마포-0162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나만모르던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티슈 세탁기 청소 법  (63) 2025.07.03
인천공항 공짜 라운지  (55) 2025.06.26
2025 민생 지원금 받는 법  (58) 2025.06.23
자취생 주방 꿀 팁 3가지  (60) 2025.06.20

댓글